1박2일로 떠나는 힐링 트레킹 여행
한국관광공사가 ‘휴가철 찾아가고 싶은 섬 33곳’으로 선정된 완도 생일도 트레킹 투어
이순신 장군의 기가 서린 고금도 충무사, 고금도 수효사
먹으면 먹을수록 젊어지는 사대문 전통 회춘탕 까지 !
이 배가 바로 당목항의 생일도까지 태워주는 배라고 합니다~
완도지역 동북쪽에 위치한 생일도는 부속 섬 덕우도를 포함해 6개 마을에 850여 명의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지난해 전라남도의 ‘가고 싶은 섬’으로 선정되면서 관광객이 꾸준히 증가, 한적한 작은 어촌마을의 풍경을 둘러볼 수 있는 섬입니다
생일도만의 아름다운 섬 풍경들
잠시 감상하고 가실게요~
생일도의 상징 생일케이크 조형물 ^^
생일도의 본래 이름은 산일도 또는 산윤도 였는데, 마을 사람들의 성품이 갓 태어난 아기처럼 맑고 착하다고 해 붙은 이름이라고 알려지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잠잘곳은 어디?
고금도에 위치한 멋진 한옥 게스트하우스인
고즈넉한 성백 한옥림
그리고 !
강진 고유의 보양식 사대부 전통 회춘탕
회춘탕은 가시오가피, 헛개나무 등 12가지 한약재에 소금을 넣지 않고 1시간 이상 푹 고아 우려낸 국물에 문어·전복·닭 등을 넣고 한 번 더 끓여 낸 전통 보양식입니다.
회춘탕은 ‘먹으면 회춘하는’이란 재밌는 이름과 함께 고려 역사유적지인 마도진 만호성지와 연관된 스토리를 담고 있습니다. 마량면에는 마도진 만호성터가 남아 있는데, 성을 관장하던 만호가 높은 양반들에게 대접하기 위해 바다에서 잡힌 고급 해산물과 고기를 넣은 음식을 만든 데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고금도의 충무사 와 고금도의 수효사
충무공 이순신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고자 건립된 사당 입니다.
가우도 출렁다리
강진읍의 보은산이 소의 머리에 해당되고 가우도는 섬의 생김새가 소의 멍에에 해당된다 하여 가우도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가우도에는 산과 바다를 감상하며 걸을 수 있는 25km의 생태탐방로인 “함께해” 길이 조성되어 있어 걷기좋은 해변길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너무나 알차고 보물같은 섬투어
함께해요~!
** 흥미진진 전라남도, 알고 떠나요 **
추천 서적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1 / 유홍준 지음
자전거 여행 / 김훈 지음
추천 영화 : 명량 / 감독 김한민 (2014년)
** 착한여행만의 트래블 팁 **
1. 완도 고금도에 속한 묘당도의 소나무와 후박나무 사이로 이순신 장군의 숨결이 전해집니다.
묘당도는 이순신 장군의 제향을 지내는 충무사와 노량해전에서 순국한 장군의 유해를 안치했던 월송대가 있는 곳입니다.
이순신 장군은 고금도가 한산도보다 수군 진으로서 유리하다고 판단, 고금도에 수군통제영을 설치하고 진을 쳤습니다.
전열을 정비한 장군은 명나라와의 연합작전을 펼쳐 노량해전에서 승리를 거둠으로써
7년여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종결했습니다.
특히 충무사에는 장군의 해상전투 전략을 그림으로 담은 ‘우수영 전진도첩 필사본’ 모사본을 접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조선 후기 우수영의 군사조직과 운영실태 및 작전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역사자료입니다.
묘당도 바로 가기 : 클릭
2. 가우도의 해안을 따라 바다와 숲이 우거진 2.5km의 산책로가 조성돼 있습니다. ‘함께해길’을 걷다보면 절로 가슴이 뚫립니다.
그 시원한 길 중간에서 ‘모란이 피기까지’의 시인 김영랑(김윤식 1903-1950)이 희미한 미소를 짓고 있습니다.
‘영랑나루 쉼터’입니다. 영랑의 동상과 나란히 벤치에 앉아서 숨을 고르고, 바다를 배경으로 그의 시를 읊조려봅니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우리나라 순수 서정시의 개척자인 영랑은 기미독립운동이 일어나자 그의 고향인 강진에 내려와 독립운동을 주도하다
옥고를 치렀습니다. 일제강점기 말에는 창씨개명과 신사참배를 거부하기기도 했습니다.
47세를 일기로 타계한 영랑은 모두 87편의 시를 남겼습니다.
영랑나루 쉼터 바로 가기 : 클릭
10월 | |
---|---|
지역 | 나주 |
교통편 | 전용차량 |
시간 | 13:00~ |
일정 |
|
식사 | [1일차] 저녁식사 (회춘탕) [2일차] 아침식사 (성백 게스트하우스) , 점심식사 (연방죽 식당) |
장소
생일도
소개
장소
당목항
소개
장소
충무사
소개
장소
가우도 출렁다리
소개